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사모아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덤프버전 :



파일:럭비 사모아.png
사모아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Samoa national rugby union team
별칭마누 사모아 (Manu Samoa)
소속단체럭비 사모아
감독파일:사모아 국기.svg 세일랄라 마푸수아 (Seilala Mapusua)
주장마이클 알라알라토아 (Michael Ala'alatoa)
최다 출전자브라이언 리마 (Brian Lima) 67회
최다 득점자투시 피시 (Tusi Pisi) 245점
최다 트라이브라이언 리마 (Brian Lima) 29회
홈 구장아피아 파크 (Apia Park)
첫 국제경기VS 피지 (0:6 패), 1924년 8월 18일
최다 점수차 승VS 파푸아뉴기니 (115:7 승), 2009년 7월 11일
최다 점수차 패VS 뉴질랜드 (14:101 패), 2008년 9월 3일
럭비 월드컵9회 출전, 최고 기록 8강(1991, 1995)
월드 럭비 랭킹최고 7위(2013) / 최저 17위(2019)
역대 전적265전 119승 9무 137패 (44.9%)[1]

1. 개요
2. 역대 감독
3. 역대 전적
3.1. 주요 대회 성적
3.2. 국가별 상대전적
4. 개인 기록
5. 유니폼
6. 선수단



1. 개요[편집]


사모아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이다. 경기 시작 전 그들만의 춤 의식인 시바 타우(Civa Tau)를 선보인다.영상 다른 오세아니아 국가의 것과 비교하면 상당히 빠르고 경쾌하다.

과거에는 상당한 강호였으나 시간이 지나고 프로화가 점점 자리잡으면서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사모아 자체의 하락이라기보단 타국이 더 빨리 발전하면서 상대적으로 설 자리가 줄어들었다고 보는 것이 맞을 듯).
마지막 전성기였던 2010년대 초반엔 세계 랭킹 7위까지도 올라갔었고 호주, 웨일스를 잡는 모습을 보여줬으나 이젠 이탈리아도 버겁다. 2014년 이후 티어1 국가들을 상대로 승리한 바가 없다. 그마저도 2013년은 기량이 별로였던 스코틀랜드, 2014년은 이탈리아를 잡은 것이다. 그렇다고 해도 인구 25만의 가난한 섬에서 이런 성적을 내는 것 자체가 이미 대단한 것.

2017년 당시 사모아 총리 겸 사모아 럭비 유니언 회장은 연맹이 파산했음을 월드 럭비에 알렸다. 대표팀 인건비와 국제경기를 위해 지불할 돈조차 없다고 한다. 하지만 월드 럭비는 이를 반박하며 재정 지원을 거부했다.


2. 역대 감독[편집]


감독별 전적은 확인할 수 없다.
이름기간
피터 슈스터1988~1995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브라이언 윌리엄스1996~1999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존 보2000~2003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마이클 존스2004~2007
니코 팔라모2008~2009
티티마에아 타푸아2009~2011
파일:호주 국기.svg 스콧 와이스멘틀2011
스티븐 베탐2012~2015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알라마 레레미아2016~2017
티티마에아 타푸아2017~2018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스티브 잭슨2018~2020
세일랄라 마푸수아2020~


3. 역대 전적[편집]


2023 럭비 월드컵 조별리그 종료일 이후를 기준으로 함.


3.1. 주요 대회 성적[편집]


럭비 월드컵
연도개최국최종 순위비고
1987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미초청
1991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IRFU 로고.png 아일랜드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
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
8강8강전 vs 스코틀랜드(6:28)
1995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공8강8강전 vs 남아공(14:42)
1999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조별리그8강 플레이오프 vs 스코틀랜드(20:35)
2003파일:호주 국기.svg 호주조별리그조 3위[2]
2007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조별리그조 4위
2011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조별리그조 3위
2015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조별리그조 4위
2019파일:일본 국기.svg 일본조별리그조 4위
2023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조별리그조 4위
2023 럭비 월드컵 준비 경기 중 일본의 홈에서 일본을 잡아내는 쾌거를 이루고, 세계 최강 아일랜드에게도 근소한 차이로 패배하며 8강 진출 후보로 떠올랐으나, 대회 개막 후 기대했던 것보단 미치지 못하는 경기력으로 일본에 패하며 8강은 좌절되었다. 5라운드에서 잉글랜드를 몰아붙이며 승기를 잡았지만 마지막 순간 역전 트라이를 허용하며 조3위도 놓치고 말았다.

퍼시픽 트라이 네이션스 (1982 ~ 2005)
주요 참가국우승
파일:사모아 국기.svg 사모아11회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9회
파일:통가 국기.svg 통가3회
퍼시픽 네이션스 컵 (2006 ~ 2023)
주요 참가국우승준우승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6회5회
파일:사모아 국기.svg 사모아[3]4회4회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3회[4]
파일:통가 국기.svg 통가3회


3.2. 국가별 상대전적[편집]


상대국총전적승률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공9전9패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9전9패0%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7전7패0%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4전4패0%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12전1승1무10패8.3%
파일:IRFU 로고.png 아일랜드8전1승7패12.5%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6전1승5패16.7%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3전1승2패33.3%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6전2승1무3패33.3%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55전21승3무31패38.2%
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10전4승6패40%
파일:통가 국기.svg 통가69전38승4무27패55.1%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5전3승2패6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8전5승3패62.5%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18전12승6패66.7%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7전5승2패71.4%
그외[5]24전24승100%


4. 개인 기록[편집]


타이틀이름포지션기록기간/시점비고
최다 출전브라이언 리마65회1991~2007
주장으로서 최다 출전세모 시티티플랭커39회2000~2007
최다 트라이브라이언 리마29회1991~2007경기당 0.44개
최다 트라이 (경기당)아파토 소알로경기당 0.89개1996~2001총 16회
최다 득점투시 피시플라이하프245점2011~2019경기당 5.83점
한 경기 최다 득점개빈 윌리엄스센터30점2009.7.1vs 파푸아뉴기니
한 경기 최다 트라이로버트 릴로마이아바4개2012.11.9vs 캐나다


5. 유니폼[편집]


사모아도 파란색을 애용한다. 파란 셔츠와 양말, 흰 바지를 주로 입으며 어웨이는 반대다. 민무늬일 때도 있었고 요즘은 열대수 잎 무늬를 넣는다. 색상이 시즌에 따라 달라지는데, 짙을 땐 남색이고 옅을 땐 평범한 파란색 정도다.
연도장비 제작유니폼 스폰서
1986~1988파일:영국 국기.svg 엄브로-
1988~1992파일:뉴질랜드 국기.svg 캔터베리
1992~1994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텔레콤 뉴질랜드
1994~1996바일리마
1996~1998파일:미국 국기.svg 리복
1988뉴콜
1999파일:독일 국기.svg 아디다스
1999~2003-
2004~2005파일:독일 국기.svg 푸마
2005~2009사모아 국제금융
2010~2011파일:호주 국기.svg 쿠가
2012~2013파일:호주 국기.svg BLK파일:자메이카 국기.svg 디지셀
2014~2015파일:뉴질랜드 국기.svg 캔터베리파일:호주 국기.svg 크롬웰(앞), 리디파인(뒤)
2015파일:호주 국기.svg BLK
2016블루스카이 커뮤니케이션스
2016~2017파일:호주 국기.svg LE스포츠웨어
2017인베스트 사모아
매그넘 하이어(앞), 헨더슨 자동차(뒤)
2018~2021파일:호주 국기.svg BLK그레이 인베스트먼트
2021다이내스티 스포츠-
2021~2022파일:영국 국기.svg 캐스토어그레이 인베스트먼트
2022아라미스 럭비(앞), 사모아 IBFC(뒤)


6. 선수단[편집]


국가의 인문지리적 특성상 거의 모든 선수가 해외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선수가 사모아계 뉴질랜드인이다.
파일:럭비 사모아.png
2023 럭비 월드컵 / 사모아 국가대표팀
[ 펼치기 · 접기 ]

선수 명단
소속팀포지션한글 성명로마자 성명비고
파일:프랑스 국기.svg 페르피냥후커 (3)세일랄라 람Seilala Lam뉴질랜드인[1]
파일:미국 국기.svg 샌디에이고 리전사마 말롤로Sama Malolo뉴질랜드인[2]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모아나 퍼시피카루테루 톨라이Luteru Tolai뉴질랜드인[3]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모아나 퍼시피카레이 니우이아Ray Niuia뉴질랜드인[4]
루테루 톨라이 대체
파일:IRFU 로고.png 렌스터프롭 (5)마이클 알라알라토아Michael Ala'alatoa주장
호주인[5]
파일:프랑스 국기.svg 스타드 프랑세폴 알로에밀Paul Alo-Emile뉴질랜드인[6]
파일:프랑스 국기.svg 스타드 툴루쟁찰리 파뮤이나Charlie Faumuina뉴질랜드인[7]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블루스제임스 레이James Lay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블루스조던 레이Jordan Lay
파일:프랑스 국기.svg 툴롱 (4)브라이언 알라이누유시Brian Alainu'uese뉴질랜드인[8]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사라센스테오 맥팔랜드Theo McFarland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모아나 퍼시피카샘 슬레이드Sam Slade뉴질랜드인[9]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브리스톨 베어스크리스 부이Chris Vui주장
뉴질랜드인[10]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모아나 퍼시피카백 로우 (7)미라클 파이일라기Miracle Faiʻilagi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브리스톨 베어스스티브 루아투아Steve Luatua뉴질랜드인[11]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모아나 퍼시피카알라만다 모투가Alamanda Motuga뉴질랜드인[12]
파일:일본 국기.svg 도요타 셔틀스탈레니 세우Taleni Seu뉴질랜드인[13]
파일:프랑스 국기.svg 리옹조던 타우푸아Jordan Taufua뉴질랜드인[14]
파일:프랑스 국기.svg 페르피냥소오탈라 파아소오So'otala Fa'aso'o뉴질랜드인[15]
파일:프랑스 국기.svg 클레르몽프리츠 리Fritz Lee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모아나 퍼시피카스크럼하프 (3)에레 에나리Ere Enari뉴질랜드인[16]
럭비 사모아[17]멜라니 마타바오Melani Matavao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모아나 퍼시피카조나단 타우마테이네Jonathan Taumateine뉴질랜드인[18]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모아나 퍼시피카플라이하프 (2)크리스천 릴리이파노Christian Leali'ifano뉴질랜드 출신 호주인[19]
파일:일본 국기.svg 시즈오카 블루 레브스리마 소포아가Lima Sopoaga뉴질랜드인[20]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모아나 퍼시피카센터 (4)디앤젤로 레우일라D'Angelo Leuila뉴질랜드인[21]
파일:프랑스 국기.svg 석시옹 팔루아즈투무아 마누Tumua Manu
파일:프랑스 국기.svg 툴롱던컨 파이아아우아Duncan Paia'aua뉴질랜드인[22]
파일:프랑스 국기.svg 스타드 로셸레유제이 세우테니UJ Seuteni호주인[23]
럭비 사모아[16] (4)나이젤 아 웡Nigel Ah Wong뉴질랜드인[24]
파일:미국 국기.svg 럭비 뉴욕에드 피도우Ed Fidow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모아나 퍼시피카네리아 포마이Neria Fomai뉴질랜드인[25]
파일:프랑스 국기.svg 몽펠리에 에로벤 람Ben Lam첫 선발
뉴질랜드인[26]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모아나 퍼시피카풀백 (1)대니 토알라Danny Toala뉴질랜드인[27]
감독: 세일랄라 마푸수아 (Seilala Mapusua)
[1] 출전 자격 : 부모 또는 조부모 국적. 어렸을 때 호주로 이주하여 호주 U-20 대표팀으로도 뛰었다.[2] 출전 자격 : 부모 또는 조부모 국적. 호주 U-20 대표팀 출신이기도 하다.[3] 출전 자격 : 부모 또는 조부모 국적[4] 출전 자격 : 부모 또는 조부모 국적[5] 출전 자격 : 부모 국적[6] 출전 자격 : 부모 또는 조부모 국적. 호주 U-20 대표팀 출신이기도 하다.[7] 출전 자격 : 부모 또는 조부모 국적. 2012~2017년 올 블랙스로 뛰었다.[8] 출전 자격 : 부모 또는 조부모 국적[9] 출전 자격 : 부모 또는 조부모 국적. 뉴질랜드 U-20 대표팀 출신이다.[10] 출전 자격 : 부모 또는 조부모 국적. 뉴질랜드 U-20 대표팀 출신이다.[11] 출전 자격 : 부모 또는 조부모 국적. 사모아와 뉴질랜드 U-20 대표팀을 모두 경험했으며 2013~2016 올 블랙스로 뛰었다.[12] 출전 자격 : 부모 또는 조부모 국적[13] 출전 자격 : 부모 또는 조부모 국적[14] 출전 자격 : 부모 또는 조부모 국적. 사모아와 뉴질랜드 U-20 대표팀 둘 다 뛰어본 경험이 있다.[15] 출전 자격 : 부모 또는 조부모 국적[16] A B 출전 자격 : 부모 또는 조부모 국적. 뉴질랜드 U-20 대표팀 출신이다.[17] 사실상 무소속이다[18] 출전 자격 : 부모 또는 조부모 국적. 사모아와 뉴질랜드 U-20 대표팀 출신이다.[19] 출전 자격 : 부모 또는 조부모 국적. 2013~2019년 월러비스로 뛰었다.[20] 출전 자격 : 부모 또는 조부모 국적. 2015~2017년 올 블랙스로 뛰었다.[21] 출전 자격 : 부모 또는 조부모 국적[22] 출전 자격 : 부모 국적. 호주 U-20 대표팀 출신이다.[23] 출전 자격 : 부모 또는 조부모 국적. 호주 U-20 대표팀 출신이다.[24] 출전 자격 : 부모 또는 조부모 국적[25] 출전 자격 : 부모 또는 조부모 국적[26] 출전 자격 : 부모 또는 조부모 국적[27] 출전 자격 : 부모 또는 조부모 국적. 뉴질랜드 U-20 대표팀 출신이다.






[1] 2023년 10월 8일 기준, 출처[2] 조 3위도 자동 진출권이 없던 시절이었다[3] 2014년 일본과 공동 우승[4] 2014년 사모아와 공동 우승[5] 스페인 러시아 벨기에 캐나다 칠레 쿡제도 독일 대한민국 나미비아 뉴칼레도니아 파푸아뉴기니 타이티 우루과이